7.권리의 변경 (주체, 내용, 작용)
민법 권리의 변경은 이미 존재하는 권리가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주체, 내용, 작용(효력) 중 어느 한 측면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집주인이 바뀌거나(주체 변경), 빌려준 돈을 물건으로 대신 받거나(내용 변경), 내 저당권의 순위가 올라가는 것(작용 변경)이 모두 여기에 해당합니다. 권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권리관계의 동적인 측면을 파악하는 핵심 열쇠입니다.
권리의 내용이나 작용은 그대로인데, 그 권리를 가지는 주체만 바뀌는 경우입니다. 이는 우리가 배운 ‘이전적 승계’를 권리 자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입니다.
예시: 甲이 자신의 아파트를 乙에게 매도하여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권리자는 그대로인데, 권리가 가진 내용(알맹이)이 달라지는 경우입니다.
권리의 주체와 내용은 그대로인데, 그 권리가 발휘하는 힘(효력)이나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경우입니다.
예시 1 (순위 상승): 한 부동산에 설정된 1순위 저당권이 소멸하자, 후순위였던 2순위 저당권의 순위가 1순위로 올라가는 경우.
예시 2 (대항력 취득): 등기 없던 부동산 임차권이 등기를 갖추어 제3자에게도 대항할 수 있는 힘(대항력)을 얻게 되는 경우.
최신 스마트폰(📱=권리)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내가 쓰던 폰을 중고로 팔았습니다(매매). 폰은 그대로지만 주인이 나에게서 친구로 바뀌었죠. 이것이 주체의 변경입니다.
폰을 떨어뜨려 액정이 깨졌습니다. 소유자는 나로 같지만, 폰의 가치와 범위가 줄었죠(양적 변경). 갑자기 폰이 고장 나 통화 기능만 되고 앱은 안됩니다. 폰의 성질 자체가 변했죠(질적 변경).
무료 앱을 쓰다가 유료 결제를 했습니다. 앱의 내용은 같지만 광고가 사라지고 추가 기능이 열렸습니다(힘의 강화). 통신사 VIP가 되어 A/S를 우선적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내 폰은 그대로지만 서비스 순위가 올라갔죠. 이것이 작용의 변경입니다.
문제 1: 甲이 乙에게 자신의 건물을 매각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이는 어떤 권리 변경에 해당하는가?
정답: 주체의 변경
상세 풀이: 이 사례에서 변경된 것은 오직 ‘소유권자’라는 사람뿐입니다. 甲이 가졌던 ‘건물 소유권’의 내용(건물을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능)과 효력은 乙에게 그대로 이전되었습니다. 이처럼 권리의 내용과 작용은 동일성을 유지한 채 권리자만 바뀌는 것을 주체의 변경이라고 합니다. 이는 권리를 취득한 乙의 입장에서 보면 ‘이전적 승계’에 해당하며, 같은 법률 현상을 다른 관점에서 표현한 것입니다.
문제 2: 丙이 丁에게 1억 원을 빌려주었으나 丁이 돈을 갚지 못하자, 丁 소유의 자동차로 대신 빚을 갚았다(대물변제). 丙의 채권에 일어난 변경은?
정답: 내용의 변경 (질적 변경)
상세 풀이: 대물변제(代物辨濟)는 본래 줘야 할 것(돈) 대신 다른 물건으로 갚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丙이 가졌던 권리의 ‘알맹이’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원래는 ‘1억 원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금전채권’이었지만, 이제는 ‘자동차를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특정물 인도청구권’으로 그 성질이 근본적으로 변했습니다. 권리자는 丙으로 동일하지만 권리의 목적물이 돈에서 자동차로 바뀌었으므로, 이는 내용의 질적 변경에 해당합니다.
문제 3: 戊의 토지에 1순위로 A은행, 2순위로 B은행의 저당권이 있었다. A은행의 채무가 모두 변제되어 1순위 저당권이 소멸하였다. B은행의 저당권에 일어난 변경은?
정답: 작용의 변경
상세 풀이: B은행의 저당권 자체(담보하는 채권액, 이자 등)의 내용은 전혀 변하지 않았습니다. 권리자(B은행)와 채무자(戊)도 그대로입니다. 하지만 선순위였던 A은행의 저당권이 소멸하면서 B은행의 저당권 순위가 2순위에서 1순위로 상승했습니다. 이를 ‘저당권의 순위 승진의 원칙’이라고도 합니다. 이처럼 권리의 내용 자체는 변함이 없으나, 다른 권리와의 관계에서 그 우선적 효력, 즉 ‘힘(작용)’이 더 강해졌으므로 이는 전형적인 작용의 변경에 해당합니다.
새로운 소식과 학습 자료는 네이버 카페에서!
[유튜브] 라디오처럼 들으면서 이해하는 민법!
"우리끼리 합의했으면 그만이지, 법이 무슨 상관이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만약 의사와 환자가…
우리가 아파트를 매매하기로 '계약'하는 행위와, 나중에 잔금을 치르고 등기를 '이전'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완전히 다른 성질을…
세상에 공짜는 없다지만, 법의 세계에서는 '공짜'도 엄연한 법률관계입니다. 내가 커피를 사 마시는 행위와 친구에게 생일…
"구두 계약도 계약이다"라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친구와 말로만 한 약속도 법적 효력이 있을까요? 정답은…
법률행위는 당사자가 원하는 대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의사표시'를 핵심 재료로 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요리법에 따라 재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