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권리의 발생 원시취득
민법 원시취득은 타인의 권리를 승계하지 않고 자기 행위 또는 법률의 규정만으로 새로운 권리를 곧바로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반대 개념인 승계취득(매매·증여·상속 등)은 기존 권리를 이어받는 구조이므로, 종전 권리의 하자·제한을 승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원시취득은 “깨끗한 권리”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시험과 실무의 핵심 주제입니다.
※ 아래 대표유형 문제는 모두 문제-규범-적용-결론 순서로 풀이합니다.
구분 | 원시취득(민법 원시취득) | 승계취득 |
---|---|---|
의미 | 법률·사실에 의해 새 권리가 직접 발생 | 타인의 기존 권리를 이전받음 |
하자·담보권 | 단절 경향(유형별 예외) | 승계 경향 |
예시 | 무주물선점·과실취득·부합/혼화/가공·취득시효·수용 | 매매·증여·상속·경매 등 |
※ 구체 요건·효과는 조문과 특별법·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① 매매로 소유권 취득 ② 장기간 평온·공연·자주 점유 후 요건 충족 ③ 증여로 소유권 취득 ④ 상속으로 소유권 취득
정답: ②(취득시효)
A의 목재가 B의 기계에 영구 부착되어 분리 시 과다 손실. 소유권 귀속은?
정답: 주물(기계)의 소유자 B에게 귀속
과수원 임차인 C가 적법한 과실수취권을 가진다. 사과가 나무에서 분리되었다. 소유권은?
정답: 분리 시점에 C에게 원시취득
D가 부동산에 대해 시효취득 요건을 갖추었다. 제3자에 대한 대항을 위해 필요한 조치는?
정답: 등기 등 공시 정비
공익사업으로 토지가 수용되어 국가가 소유권을 취득했다. 기존 저당권 등은?
정답: 원시취득 효과로 종전 제한물권은 절단·소멸(보상체계와 연동)
※ 구체 절차·보상은 개별 특별법·수용재결에 따릅니다.
새 글 알림은 독학공부 카페에서 받아보세요.
"우리끼리 합의했으면 그만이지, 법이 무슨 상관이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만약 의사와 환자가…
우리가 아파트를 매매하기로 '계약'하는 행위와, 나중에 잔금을 치르고 등기를 '이전'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완전히 다른 성질을…
세상에 공짜는 없다지만, 법의 세계에서는 '공짜'도 엄연한 법률관계입니다. 내가 커피를 사 마시는 행위와 친구에게 생일…
"구두 계약도 계약이다"라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친구와 말로만 한 약속도 법적 효력이 있을까요? 정답은…
법률행위는 당사자가 원하는 대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의사표시'를 핵심 재료로 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요리법에 따라 재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