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채권은 특정한 사람(채무자)에게 특정한 행위(급부)—돈 지급·물건 인도·작위·부작위—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그래서 채권은 상대적 효력(상대권)을 가지며, 시험과 실무에서 분쟁의 중심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권리의 종류 중 채권을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하고, 대표유형 문제를 “채점 기준에 맞게” 단계적으로 풀이합니다.
구분 | 채권(민법 채권) | 물권 |
---|---|---|
대상 | 특정인에게 급부를 요구(인적 관계) | 물건 자체 지배(물건과 직접 관계) |
효력 범위 | 상대적 — 채무자에게만 주장 | 대세적 — 누구에게나 주장 |
형식/공시 | 원칙적 불요식(서면은 증거력 강화) | 등기·점유 등 공시 필요 |
실무 포인트 | 지체·불완전이행·손해배상·항변 | 우선변제·대항요건·점유/등기 |
메모: 매매계약 자체는 채권관계(“대금 ↔ 인도/등기”). 인도·등기 단계에선 물권 논점이 결합됩니다.
※ 구체 기간·특례는 최신 법령을 확인하세요.
다음 중 민법 채권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함정 주의: “물권적 청구권”은 물권 보호수단으로 채권이 아니다. 용어가 비슷해도 성질이 다르다.
A는 B에게 자신의 희귀 기타(특정물)를 매도하였다. 잔금일 전, B가 지체 중 천재지변으로 기타가 멸실되었다. 옳은 것은?
오답 해설: ③ 연대채무는 본 사안과 무관, ④는 급부가 ‘부작위’인 경우의 강제수단 논점.
C는 D에게 상가를 매도하고, D는 잔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잔금일, D는 “등기이전 준비가 없으니 잔금을 못 낸다”고 항변하고, C는 “잔금을 먼저 달라”고 요구한다. 누구의 주장이 타당한가?
실무 팁: 계약서에 “잔금과 동시에 등기이전·인도” 문구와 이전서류 체크리스트를 명확히 기재.
채권자 갑이 을에 대한 금전채권을 병에게 양도했다. 제3채무자(을)에 대한 대항요건과, 경합 시 우열 판단에 유리한 요소는?
대항요건은 통지 또는 승낙이고, 다툼이 겹칠 땐 확정일자 유무가 우열 판단의 핵심 근거가 됩니다. ②·③·④는 요건을 과장하거나 엉뚱한 근거를 든 오답입니다.
새 글 알림은 독학공부 카페에서 받아보세요.
"우리끼리 합의했으면 그만이지, 법이 무슨 상관이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만약 의사와 환자가…
우리가 아파트를 매매하기로 '계약'하는 행위와, 나중에 잔금을 치르고 등기를 '이전'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완전히 다른 성질을…
세상에 공짜는 없다지만, 법의 세계에서는 '공짜'도 엄연한 법률관계입니다. 내가 커피를 사 마시는 행위와 친구에게 생일…
"구두 계약도 계약이다"라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친구와 말로만 한 약속도 법적 효력이 있을까요? 정답은…
법률행위는 당사자가 원하는 대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의사표시'를 핵심 재료로 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요리법에 따라 재료의…